전체 글 (73) 썸네일형 리스트형 [ANDROID] ADB 명령어 모음 안드로이드 개발시 자주 사용하는 ADB 명령어 모음입니다. 몇몇 안드로이드 기기 중 세팅이 실행되지 않게 막아두거나 바로가기 아이콘이 없어 설정이 어려운 경우에 ADB 명령어를 이용하면 세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Android 버전 확인 adb shell getprop ro.build.version.release 2. Android 버전 확인 adb shell getprop ro.build.version.sdk 3. Android Setting 열기 adb shell am start -n com.android.settings/com.android.settings.Settings 4. APK 설치 adb install -r APK_FILE 5. APK 제거 adb unintall [패키지명] 6. .. [ANDROID] ADB (Android Debug Bridge) 설치하기 기존에 Android Studio를 설치한 사람은 Android SDK를 자연스럽게 설치가 되었을테니 ADB를 다운로드 할 필요는 없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ADB 다운로드 2. 환경 변수 설정 ADB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하기 위해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이동한 후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releases/platform-tools#downloads SDK 플랫폼 도구 출시 노트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Android SDK 플랫폼 도구는 Android SDK의 구성요소입니다. developer.android.com 자신의 OS에 맞는 SDK 플랫폼 도구를 다운로드한다. 필자는 Windows10을 사용하고 있어서 Wind.. [ANDROID] 안드로이드 자동화 및 테스트를 위한 에뮬레이터 정리 1. ADB(Android Debug Bridge) 사용 - 추후 소개할 도구에 비해 아주 아주 기본이 되는 도구이고 아래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꼭 필요한 도구라고 보면 된다. ADB는 아주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제공하고 있어 복잡한 자동화나 테스트에는 적합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ADB를 사용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개발하다보면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기본적으로 디바이스들과 연동을 하지만 실제 화면을 제공하지 않아서 SCRCPY로 휴대폰 화면을 띄워 사용해야한다. 단 아래툴을 함께 사용하면 SCRCPY는 필요없다.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command-line/adb?hl=ko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내에 내장되어있는 AVD (Android Virtual De.. [VIRTUAL BOX] 버츄어 박스 운영체제 화면크기 설정 버츄어 박스에서 가동되는 가상 운영체제 화면을 자신이 원하는 크기로 변경하고 싶을 때, 버츄어 박스 가상 운영체제 화면 크기를 마우스를 통해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화면이 커짐을 경험할 수 있으나 기존 창의 크기에서만 마우스가 갖혀있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 때에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설정 > 디스플레이 > 그래픽컨트롤러 > VBoxVGA 로 변경 [ORACLE LINUX] Virtual box에서 Oracle 64 bit가 표시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1. 컴퓨터 부팅 후 BIOS 접속 - 바이오스 접속은 메인보드마다 다르다. 보통 컴퓨터 부팅 후 F2 또는 DEL를 누르면 접속된다. 2. CPU설정에서 virtualization 속성을 Enable 한다. 3. 제어판 → 프로그램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Hyper-V 켜기 4. 재부팅 설정한 후 Virtual Box 프로그램을 구동하면 오라클 리눅스 64 Bit설정이 가능해진다. [ORACLE LINUX]오라클 리눅스 설치 및 설정 2020년 CentOS의 정책변경으로 인해 CentOS는 버전별로 다음과 같은 Life cycle을 갖게되었다. CentOS 6: 2020-11-30 종료 CentOS 7: 2024-06-30 지원 CentOS 8: 2021-12-31 지원, 이후 CentOS Stream으로 전환 지금까지는 페도라에서 테스트 후 RHEL로 배포되면 CentOS가 그걸 복제 후 릴리즈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부터는 페도라에서 테스트 후 CentOS에서 테스트 후 RHEL로 릴리즈 될 예정이다. 결국 중간의 테스트 판인 CentOS를 사용하거나, 사용료를 지불하고 안정적인 RHEL을 사용해야 한다. 이로 인해 해외 IT 커뮤니티에서는 'CentOS는 죽었다' 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을 비꼬는 사이트도 생.. 리눅스(Linux)란? - CentOS VS Ubuntu 1. 리눅스란? 리눅스(Linux)는 윈도우(Windows)와 맥(MacOS)과 같이 컴퓨터 운영체제 중 하나이다. 유닉스 (Unix)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리눅스는 유닉스와 마찬가지로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Multi-Tasking), 다중 스레드(Multi-Thread)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NOS)이다. 리눅스의 근본이 되는 유닉스가 애초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지향하여 설계된 것 처럼 리눅스도 마찬가지로 서버로 작동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이다. 2. 리눅스의 특징 - 리눅스는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가능 - 리눅스는 오픈소스로 공개된 운영체제로 누구든지 자유롭게 수정 가능 - 리눅스는 PC용 OS보다 안정적이며, 보안면에서도 PC용 O.. [ANACONDA] 아나콘다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해보자. 지난 포스팅에서는 아나콘다 프롬프트 명령어를 활용하여, 환경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명령어가 필요 없이, 직관적으로 보여지는 프로그램을 조작하여 환경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Anaconda Navigator (anaconda3)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실행된다. 1. 환경설정 (Enviroments) 먼저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서 Enviromens를 클릭한다. 아나콘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base(root) 환경이 설치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환경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Create를 눌러 환경을 생성한다. Create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린다. Name에 원하는 환경이름을 적고, 환경에서 동작할 언어와 버전을 선택 후 Create 를 클릭..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