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71)
암호화폐 '채굴자' 와 '노드' 쉽고 간단한 정리 !! 1편 WHAT IS NODE AND MINER? 일반적으로 노드가 하는 일은? 사용자들간의 거래가 이루어지면 40여가지 이상의 항목을 체크하여 거래가 유효한 거래인지 확인합니다. 또한 채굴자들이 채굴한 블록이 위조와 오류 없이 새로운 블록으로 합당한지 컨펌 후 새로운 블록으로 추가하는 역활을 합니다. 블록체인이 peer to peer 네트워크인 p2p시스템인거 다들 아시죠? 중앙시스템 없이 화폐거래를 실현해내기위해 3가지의 노드형태가 존재합니다. 1. Full Node 2. Miner 3. Light Node 간단히 각 역활을 살펴보면 Full node: 0부터 지금까지의 블록체인 기록을 모두 가지고 있는 노드 입니다. - 거래가 진행될 때 거래자들의 계좌정보와 잔액등의 정보확인을 통해 유효한 거래인지 확인 합니다. - 새로운 블록이 생성된 후 채굴을..
블록체인 기술의 영향을 받을 분야들 블록체인 기술의 영향을 받을 분야들 은행업무와 지불만이 블록체인에 의해 영향받는 것은 아닙니다. 가까운 미래에는 여러 사업 분야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할 것입니다. •부동산 시장 블록체인은 소유권 증서의 등록, 추적 및 양도에보다 효율적인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당사자들이 관련 문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암호학에 기반한 등기부는 믿을 수 있는 방법으로 관련된 절차들을 간소화 시킬 수 있습니다. • 소매 몇몇 프로젝트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구매자와 판매자를 직접 연결하려고 합니다. 이럴 경우 관련 중재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어떤 물건을 판매 할 수 있고 없는지에 대한 제한이 없어지게 됩니다자는 관련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보관할 필요 없이 대금 지..
블록체인이란 “인터넷에서 자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믿을 수 있는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는 금융 기관에 거의 의존하다시피 하고 있다. 대부분의 거래에서이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잘 작동하지만, 신뢰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내재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다.” - 사토시 나카모토 이는 사토시 나카모토란 가명으로 알려진 단체 (또는 사람)가 비트코인을 처음 만들 때 내놓은 글의 소개부분에 나온 문단입니다. DLT (Distributed Accounting Technology) 또는 블록체인은 경제 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의 비즈니스에 접목시킬 수 있는 하나의 트랜드입니다. 현재, 가장 핫한 응용 분야로 IoT, 공급 과정 관리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너무 기술적으로 다가가지 않으면서 이야기하자면, 블록체인은 은..
네트워크 크기에 따른 분류 LAN (Local Area Network) 소규모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대규모 네트워크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중규모 네트워크 프로토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1799&cid=51207&categoryId=51207 IP 주소에서 192.168.0 까지 네트워크 주소 .1 은 호스트주소이다. MAC 주소에서 00:60:97 까지 제조사번호이고 :8F:4F:86 은 제품특정번호이다.
분산시스템의 결함 허용 (Fault Tolerance) Fault Tolerance Basic Concepts ○ Fault Tolerance: 분산시스템상 어느 정도 Fault가 발생해도 시스템이 Crash 되지 않음 ○ Fault Tolerance의 Dependability (Fault Tolerance의 요소) - 가용성(Availability) - 신뢰성(Reliability) - 안정성(Safety) - 유지보수성(Maintenance) Failure Models ○ Failure의 유형 - CrashFailure: 한 시스템 또는 전체가 중단됨 - OmissionFailure: 생략, 요청에 대한 응답 실패 • Receive Omission: 메시지 수신 실패 • Send Omission: 메시지 전송 실패 - Timing Failure: 시간 초..
분산시스템의 일관성 및 복제(Consistency & Replication) 복제 이유 (신뢰성/성능)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가 복제됩니다. (백업) 성능을위한 복제 (병렬처리) - 숫자의 크기 조정 - 지리적 영역의 확장 (거리가 먼 경우 근거리에 복제해서 해시처럼 사용) 경고 -실적 향상 -복제 유지 비용 증가 대역폭 단, 갱신이나 업데이트가 되면 일관성의 문제가 된다. ○ Replication(복제): 분산시스템에서 성능(Performance)과 신뢰성(Reliability)을 확보하는 방법 - 성능: 병렬처리, Caching, 지리적 한계 탈피 - 신뢰성: 자료의 Backup ○ 복제의 문제점 - 데이터의Consistency(일관성)이깨질수있음 - 시스템 운영/관리비용의 증가 ○ Consistency Model(일관성 유지 모델) - Data-Centric(..
분산시스템의 동기화(synchronization) 컴퓨터 또는 시스템간 동기가 필요하다. 서로 다른 프로그램 (컴파일러와 에디터)끼리의 로컬클록이 다르기에 동기가 필요하다. 컴파일러를 (A)머신, 에디터를 (B)머신에서 동작한다고 한다 A와 B머신의 로컬클럭은 2초차이가 난다. A의 로컬클럭은 2144 , 2145, 2146... B의 로컬클럭은 2142, 2143, 2144... A가 2초 늦다. B의 컴퓨터에서 2143초에 에디터를 사용하였다. 2143= B의 로컬클록 A는 2144에서 아웃풋을 하지만 되지 않는데. 2144초로써 더 이전이기 때문이다. ○ 시간(Clock or Time)의 중요성 - 컴퓨터에서 일어난 이벤트 발생시간 파악 - Data Consistency 유지 등 각종 시스템 알고리즘 구현에 이벤트 시간이 중요 ○ Clock Syn..
분산시스템의 네이밍 Names, Identifiers, and Addresses ○ Name(이름) - 임의의 실체(Entity, Object 등)에 부여 - 실체를 구분하고 원하는 대상을 찾기 위함 ○ Identifier(ID, 식별자) - 동일한 이름을 가지는 실체를 구분 - 식별자와 실체는 1:1 관계 - 동일한 식별자는 항상 동일한 실체를 가리켜야 함 ○ Address(주소) - 실체에 Access 하는 방법 - Access Point Naming 방법 ○ Flat - Forwarding Pointer - HBA(Home-Based Address) - DHT(Distributed Hash Table) - HA(Hierarchical Approach) ○ Structured - NS(Name Space): File 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