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학에서 정해지지 않은 임의 값을 대입할 수 있는 문자를 가리켜 변수라 한다.이와 유사한게 C언어의 변수가 의미하는 바도 다음과 같다."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은 이름, 혹은 메모리 공간 자체를 가리켜 변수라 한다"따라서 변수라는 것을 하나 만들면 (선언하면), 그 변수의 이름을 통해서 값의 저장 및 참조가 가능하고 또 저장된 값의 변경도 가능하다.아래는 변수의 선언방법이다.int main(void){int num; // num이라는 이름의 변수선언}위 코드에서 보이듯이 다음 문장이 변수의 선언문이다.int num;이 문장을 구성하는 int 와 num이 의미하는 바는 각각 다음과 같다.int= 정수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합니다.num= 그리고 그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num 이라 합니다.따라서 아래의 코드에서 보이듯이 변수 num을 선언한 다음에는 num이라는 이름을 이용해서 값을 저장하고 참고할 수 있다.int main(void){int num; // num이라는 이름의 변수선언num = 20; // 변수 num에 20 저장printf(%d, num) // 변수 num의 값 참조}C언어에서 = 기호는 값의 대입을 뜻함.이 기호를 가리켜 '대입 연산자' 라 하며 대입 연사자의 오른편에 오는 값을 왼편에 오는 변수에 저장하는 형태로 사용이 됌따라서 위 코드를 실행하면 저장된 값 20이 출력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음.
반응형
'C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감연산자 및 기타 예제 (0) | 2018.07.18 |
---|---|
변수의 다양한 선언 및 초기화 방법 (0) | 2018.06.19 |
함수 및 용어 (0) | 2018.06.19 |
C 프로그램의 완성과정 (0) | 2018.06.18 |
프로그래밍 언어란? (0) | 2018.06.18 |